본문 바로가기

블루베리 재배 팁(Tip)

소나무수피? 솔잎부엽토? 파인바크? 소나무는 왜 블루베리에 좋은가?

반응형

 

소나무수피? 솔잎부엽토? 파인바크? 소나무는 왜 블루베리에 좋은가?

 

우리는 소나무 하면 무엇이 생각나는가?

블루베리를 알기전에는...송편만들때 청솔잎.. 보름에 불놀이 할때 광술...

갈잎과 솔방울로 모아 불쏘시게 했던 기억? 송아가루로 만든 다식...

혹은 봄철만 되면 차량을 덮는 송아가루..

 

하지만 언제부터인가.. 블루베리를 키우고 부터는

소나무 하면.. 소나무 바크.. 소나무 수피..소나무 우드칩...소나무 톱밥... 솔잎부옆토..

이런 것들이 먼저 떠오르네요...

블루베리 재배에 왜? 이런 소나무 유기물이 좋을까요?

 

 

블루베리 재배하면 먼저 떠오르는 것이 산성토양입니다..

그래서 피트모스도 PH 3.5~5.0의 산성토양이기 때문에 블루베리 재배에 사용하는 것이죠...

엄밀히 말하면 피트모스도 산성유기물입니다. 세상 모든 생물은 죽으면 유기물이 됩니다..

그 유기물중에 블루베리를 키우는 우리가 필요한 유기물은 산성유기물이 필요합니다.

그것도 부숙되며 산성을 오래 유지해주는 산성유기물..

파인바크(껍질) ,소나무우드칩, 소나무톱밥,소나무파쇄목 모두 소나무의 산성유기물입니다..

그럼 그 차이는 무엇일까요?

부숙속도,입자의크기,수분보유력입니다..

토양에서 얼마나 오래 ... 얼마나 많은..공극을 유지하고 수분보유력을 가지며

어느 정도의 탄질율을 유지하며 양분(질소)을 제공하는냐 입니다..

당연 같은 조건(소나무 부산물)이라면...입자가 클수록.. 재질이 단단할 수록...부숙은 천천히 이루어집니다...

 

파인바크와 우드칩,소나무파쇄목은 토양의 물리적 공극과 장기적으로 부숙되어 주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하고.. 입자가 작은 소나무수피나 톱밥은 토양의 물리적 공극보다는 산성유기물의 빠른 부숙으로 양분 공급에 주 목적으로 사용하시면 좋을듯 싶습니다..

 

참고로 저는 재제소에서 부숙이 조금 된 입자가 큰 소나무 껍질을 한차 받아서..

1년정도 더 부숙시킨 뒤 블루베리를 식재 했습니다..

블루베리 1~2년 키울것이 아니기때문에 서서히 부숙되어 5~6년이상 부숙되어 주길 바랄뿐입니다.

 

그러면 산성유기물은 소나무빼고..또 무엇이 있을까요?

침엽수 부산물이나... 갈대,옥수수대도 탄질율이 낮고 산도도 낮아 블루베리 재배의 멀칭용자재로 가능하다고 하네요.

 

그러면 일반 활엽수의 유기물들은 왜? 사용하면 안될까요?

활엽수 부산물은 소나무 등 침엽수 부산물에 비해서 칼슘, 칼륨, 마그네슘 등 비산성 무기질들이 상대적으로 많고 부숙될 때는 미생물이 분비하는 유기산에 의해서 부숙 초기에는 산성쪽으로 변했다가 산도가 올라가 본래의 산도로 돌아갑니다.

반면에 소나무등 침엽수는 부숙될 때 산도가 계속 산성을 유지한다네요^^

블루베리 키우때 알아야 할 기본은...PH 3.5~5.0의 산성토양과 유기물입니다.

일반흙(중성토양)에도 블루베리를 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살아만 있을뿐 더 자라지는 않을 거고...열매도 제대로 주지 않을거에요...

블루베리 나무를 키우고...블루베리를 수확하고 싶다면...산성토양을 잊지 마셔요^^

 

 

[조이가든] 소나무바크 1포대 (일반형)

COUPANG

www.coupang.com

 

블루베리연구모임 : 네이버 카페

블루베리를 재배하거나 블루베리의 품종과 특성에 대해 좀더 깊이 이해하고 배우는 모임입니다.

cafe.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