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루베리 재배 팁(Tip)

블루베리 증식의 이해(무성생식과 유성생식)

반응형

#블루베리를 증식하는 방법
#블루베리 유성증식하는 방법(씨앗 파종)
#블루베리 무성증식하는 방법(삽목,조직배양)
 
블루베리... 아니 대부분의 생물들은 .. 번식을 통해.. 개체수를 늘리고..
그 유전성질을 유지하며..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물론 동물들도 마찮가지입니다.
대부분 동물들은 유성생식을 통해 번신을 하여 종을 유지합니다..
하지만 식물의 번식에는 유성생식외에 무성생식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무성생식은 식물의 씨앗이 아닌 식물의 몸체를 이용하여 번식을 하는 방법입니다...
무성생식에는 식물의 조직을 배양해서 번식하는 조직배양이라는 방법이 있고...
식물의 가지를 잘라서... 뿌리를 내리게 만들어 새로운 개체로 만드는 삽목이라는 방법이 있습니다..
 

 #블루베리 유성생식

 
식물의 번식은 꽃이 피고 수술의 꽃가루가 암술머리에 착상되면서 수정이되어 열매가 달리고 그 열매안에 씨가 다시 발아되 새로운 개체가 되는 것을 유성생식이라 합니다. 유성생식에는 자연수정과 인공수정을 통한 유성생식이 있습니다....  자연수정은 우리가 블루베리 열매를 얻는 기본적인 것으로 풍매(바람을 통해 수정)나 충매(곤충을 통해 수정)를 통한 수정을 말하며  인공수정은  우리 가 필요한  특정품종의 꽃가루를  특정 품종의 꽃의 암술머리에 수분시켜줌으로 우리가 원하는 품종에서의 교차수분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이렇게 생긴 열매에서 씨앗을 채취해 다시 파종해서 얻어지는 묘목을 유성생식묘입니다.


블루베리에서 유성생식을 하면.. 부모의 유전자를 100% 발현되지 않습니다...

대부분 좋지 못하죠... 하지만 아주 아주 작은 확율로... 부모유전자 보다 좋은 것이 나올수 있다네요... 그래서.. 그것을 통해 새로운 품종을 만들어 내기도 합니다...
 
 #블루베리 무성생식(조직배양,삽목)

 

블루베리의 무성생식에는 식물체의 조직을 배양하여  적은양의 조직으로 다량의  조직배양묘를 만들수 있는 조직배양과

블루베리 가지를 절단하여 토양에 꼽아주고  발근조건을 맞춰주어  새로운 개체를 만드는 삽목방법이 있습니다.

이 무성생식으로 증식은 부모의 유전자를 100% 받기때문에  모수의 특징을 그대로 재현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거대 블루베리 종묘사는  유성생식으로 새로운 품종을 개발하고 조직배양으로 육묘를 합니다...

우리는 그렇지 못하므로... 우리가 할 수 있는  삽목이라는  무성생식을 통해  우리가 필요한 묘목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자 이제 거두 절미하고... 삽목이라는 것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밀폐삽목이 좋아요? 개방삽목이 좋아요? 이렇게 물어 보시는 분을 위한 답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일단 정답부터 말씀드리면... 각자 자신의 삽목환경(시공간의 상황)에 따라... 선택하시면 됩니다.
삽목은 뭐가 중요할까요?
당연.. 온도유지와 습도유지입니다.
삽목은 적정 온도와 습도가 유지가 될때 잎눈(bud)에서 새로운 가지가 나오게 되고...
그다음에 흙속에 묻힌 가지나 절단면에서 뿌리가 나오게 됩니다...
그렇게 가지와 뿌리가 나오면... 새로운 개체가 만들어 지는 것입니다..
 
온도유지와 습도유지가 잘되는 시설을 가지고 있으신 분은 그런시설에서 삽목을하시면 되는 것이고...
조직배양을 할수 있는 시설이 있으신 분은 삽목보다 대량으로 조직배양을 하면 되듯이...
각자 주어진 환경에 맞추어서.. 삽목을 하시면 됩니다..
아무 시설이 없고... 온도유지와 습도 유지가 자신이 없으신 환경이면.. 밀폐삽목을 하시면 되고...
온도 유지와.. 습도유지에 자신이 있으신 환경이시면 개방삽목을 하시면 됩니다...
 

 


 
지금 부터 설명은 아무런 시설이 없으신 분들.. 삽목을 처음해보시는 분들이 참고하시면 좋을 듯 싶습니다..
밀폐삽목은.. 저같은 경우는 스티로폼 박스바닥에 구멍을 마구 뚫고 삽목토양을 채운뒤...
물을 흠뻑 줘서 토양이 수분이 충분히 먹게 한뒤... 물이 잘 빠지게 둡니다..
그리고 숙지삽수를 일정 간격으로 꼽아 주고 스티로폼 박스의 네 귀퉁이에 철사로 하우스활대처럼 만들어주고...
다시 물을 흠뻑 줘서.. 삽수가 토양에 밀착되게 만든뒤... 한시간 정도 둬서.. 물이 다 빠지게 만듭니다...
그다음 살균제가 있으면 살균제를 미리미리 쳐주고.. 비닐을 쒸운뒤...
온도가 제일 안떨어지고... 볕이 좋은 곳에 가져다 놓습니다...
그러면 밀폐삽목은.. 새순이 나오고.. 블랙티프가 생기고 뿌리가 나올때까지 간혹 들여다 보기만 하면 됩니다.
밀폐삽목은 성공의 두 변곡점은... 곰팡이 발생과... 순화과정입니다... 이것만 성공하시면 대부분 성공합니다...
밀폐삽목은 습도가 높고.. 온도가 유지되는데.. 공기순환이 안되기에.. 안에서 곰팡이가 생기면... 중간중간 보시고 살균제를 살포해주셔야 합니다... 그리고.. 순화과정은.. 공기순화와.. 햇볕순화가 있는데요...
공기순화는 갑작스런 습도변화에 잎이 타들어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는 것이구요..
공기순화의 방법으로는 삽수가 2차성장을 마치면 저는 비닐에 구멍을 내어줍니다 하루에 두세개씩 그렇게 일이주 지나면 비닐을 조금씩 벗겨내줍니다
햇볕 순화는 일조량이 적은 곳에서 자란 것들이 태양을 별안간 직접 쬐면 잎이 타버립니다..
그래서 반그늘에서 볕에대한 적응을 시킨뒤 직광에 내 놓는 것을 말합니다
복잡하고 어렵지요?
그러나 개방삽목보다 훨씬 뿌리내림이 빠릅니다. 그럼 개방삽목에 대해서 설명드릴께요


개방삽목은 습도유지는 크게 신경안쓰는대신 온도관리만 잘 하면 됩니다 다만 삽목토양의 습도 유지를 위해 주기적으로 물을 주셔야합니다
물을 줄때 최대한 삽수가 흔들리지 않게 주셔야합니다 그리고 삽목토양은 배수가 잘 되도록 구성해주셔야해요 물을 자주 주기때문에 배수가 불량하면 뿌리내림이 잘 안될 수 있습니다 .
 
 
 
개방삽목은 진행이 느리지만 순화과정이 필요없고 곰팡이 발생이 적습니다
 
자그럼 앞서.. 말한 각자 자신의 삽목환경(시공간의 상황)에서.. 왜? 시공간이라고 말했을까요?
맞아요.. 삽목시기에 따라 잘되는 것이 있어요...
지금이리 추운 날씨에 온도 관리가 어렵잖아요
그렇기에 이 시기에는 개방보다 밀폐삽목을 추천합니다^^

 

 

 

※ 블루베리에 관한 모든 것

 

블루베리연구모임 : 네이버 카페

블루베리를 재배하거나 블루베리의 품종과 특성에 대해 좀더 깊이 이해하고 배우는 모임입니다.

cafe.naver.com